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결핵 증상과 원인 전염성과 치료 방법 꼭 알아두세요.

by GAJAAZ 2022. 9. 8.
반응형

많은 사람들이 결핵을 과거의 병으로 생각하시는데 아직까지 우리나라게는 결핵환자가 많이 있습니다.

특히나 우리나라는 OECD 가입국 중에서 결핵 발생율 1위이며 사망률 또한 OECD 가입국 중에서 두번째로 높은 순위를 가지고 있습니다.

결핵은 폐나 기관지에 세균 감염으로 인해 생기는 질환으로 다른 장기들에도 영향을 줄 만큼 위험한 질환으로 알려져있습니다.

현재까지도 전 세계 인구의 30%를 넘는 인구가 결핵에 감염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있으며 절대로 간과해서는 안될 질환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결핵으로 인해 나타나는 증상과 원인, 전염성, 치료방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결핵의 증상

결핵은 결핵균의 결핵균 복합체에 의해 발생하는 공기 매개 감염병으로 신체의 여러 부위를 침범할 수 있습니다.

임상결과에 따라 폐결핵과 폐외결핵으로 구분되며 대부분의 환자의 경우 폐결핵의 양상을 보이게 됩니다.

폐외결혁은 주로 림프절과 흉막에 발병하는 경우가 많으며 그 외에도 복막이나 위장관, 중추신경계, 비뇨 생식기 계통에서도 발병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또한 폐결핵과 폐외결핵이 동시에 나타나는 경우도 적지않습니다.

결호나자의 결핵균이 함유된 미세한 비말에 의해 전염이 되며 감염으로 인해 모두 결핵으로 바로 발병되는 것이 아니라 10%의 경우에 결핵이 발병됩니다.

결핵균의 감염으로 2년 내에 발병되는 경우도 있고 수개월에서 수십년의 잠복기를 거쳐 발병되기도 합니다.

결핵에 감염된 사람들은 일생동안 1/10 확률로 결핵이 별병되며 활발하게 증식하는 바이러스는 우리몸의 여러곳으로 증식하며 질병을 일으킵니다.

우리 몸에서 결핵균이 자라는 부위에 따라서 다양한 결핵환자의 증상을 보이며, 가장 많이 발병한느 부위는 폐결핵이라고 합니다.

가족중에 결핵환자가 있는 경우에는 미리 결핵 반응 검사를 하게 되는데 이때 아이들에게 결핵반응이 나오는 경우가 있습니다.

우리가 보통 결핵에 걸렸다고 말할때 기침 등의 증상을 보이게 되는데 아이들의 경우에는 어른들에게서 나타나는 증상이 잘 나타나지않아 결핵을 방치하게 될 수 있습니다.

아이들은 어른과는 달리 폐결핵이 흔치않고 대부분의 경우 증상이 없고 가슴 X선 사진을 찍더라도 사진에 이상이 나타나지 않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러한 이유로 안심하고 아이들에게 결핵약을 먹이지않거나 치료를 하지 않는 경우 심각한 후유증이 나타날 수 있어 조심해야합니다.

어른의 경우 기침 등의 증상을 동반하지만 아이들의 경우에는 무증상인 경우가 많으니 특히 유의해야합니다.

 

 

결핵의 전염성

결핵은 공기중으로 전염이 되는 질병으로 결핵균이 활발하게 증식하고 있는 결핵 환자가 기침이나 재채기를 하게되면 결핵균이 포함된 타액을 공기 중에 노출시키게 됩니다.

이러한 타액을 비말핵이라고하며 결핵환자가 배출한 비말핵이 들어있는 공기를 사람들이 들이마시게되면 전파되여 결핵 감염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결핵균에 감염이 되었다고 하더라도 반드시 결핵에 걸리는 것은 아닙니다.

결핵균의 양이나 면연력에 따라 결핵발병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또한 잠복감염이 아닌 활동성 결핵균을 가진 사람만이 결핵을 전염시킬 수 있으며 활동성 결핵을 가지고 있더라도 적절한 치료를 받고 2주 정도가 지나면 전염성은 사라집니다.

대부분의 감염원은 가족에 의한 감연이지만 친척이나 이웃과 밀접하게 접촉한 사람에게서도 환자가 발견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결핵균 감염에 의한 만성전염병이지만 소아는 제한된 범위에서 감염되며 신체의 저항력이 약하고 빠르게 진행되므로 어른들의 결핵과는 다른방법으로 치료가 되어야 합니다.

 

 

결핵의 치료방법

결핵의 경우 적절한 결핵약을 복용하면 대부분 완치될 수 있는 질병입니다.

결핵을 완벽하게 치료하기 위해서는 환자와 의료진의 협력이 필수이며 환자는 의사의 치료법을 믿고 따라주는 것이 중요합니다.

치료는 결핵약을 복용하는 것으로 진행되며 약 6개월의 기간동안 약을 복용하며 일부는 더 길게 복용하게 될 수 있습니다.

아이들의 경우 결핵증상이 나타나지않아 진단이 쉽지않고 진단을 받더라도 주위사람들에게만 수소문하다 치료가 늦어지는 경우가 있습니다.

오랜기간동안 복용해야하는 결핵약이 아이들에게 좋지않을까 염려되어 약을 먹다 중단하고 다른 방법으로 치료하는 분들이 간혹 있다고하는데,

결핵약은 어린아이들에게 위험하지않으며 의사의 지시에따라 오랫동안 복용하더라도 별다른 문제가 발생하지않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의사의 지시에 따라 약을 꾸준히 복용하는것이 중요하며 절대 임의로 결핵약을 끊지않도록 해야합니다.

 

반응형

댓글